Books
Design
책의 사각지대-4
2025. 6. 14.
나는 영국 런던에 와있고, 한국을 떠나기 전 가까운 지인 몇몇은 나에게 편지를 남겨주었다. 나에게 남겨진 몇 장의 편지들을 다시 펼치면, 편지에 쓰인 이름들, 편지의 호명과 맺음말을 지우더라도 나는 그것이 누구로부터 온 것인지 알 수 있다. 그들의 필체가 이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것은 문자에 다가가 그것을 독해하기도 전에 벌어지는 일이다. 각각은 너무 고유하고 익숙해서 잠시동안 나를 안정시킨다. 친밀한 사람들의 필체는 그들의 얼굴이나 목소리처럼 하나의 정체성으로 나에게 다가온다. 그런데 그것은 이렇다하게 코드화되어 있다고 말할 수 없다. 그것은 문자이지만 동시에 이미지, 분위기 혹은 움직임이며 코드 안의 코드이거나 코드라고 불리기 애매한 것이다.
(···)
그건 정해진 이름도 아니고 성별도 아니고 자본의 흐름에 따라 흐르는 신체(내가 영국에 와 있는 것과 같은)나 지성의 모양(체)도 아닌 - 이들을 떠올리게 만드는 마주침이다.
위의 글은 약 2년 전, 제가 처음 타지 생활을 시작하며 써두었던 단상입니다. 한평생 익숙했던 세상에서 벗어나, 아무도 나를 모르는 곳—내가 물리적으로 그곳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더라도 존재하지 않는 것만 같은 실존 붕괴의 순간을 선사하는 곳에 놓이게 되었을 때, 서울에서부터 온 몇 개의 편지지에 담긴 글자들은 한때 저를 존재케 하는 증거이자 위안이 되는 이미지였습니다. 그것이 굳이 해독 가능한 모국어로 쓰여 있지 않더라도 그러했을 것입니다. 나의 삶 속에 있던 타인들의 손끝에서 흘려진 생김새라는 것만으로도 그것이 가진 기능이 있었고, 저는 그때부터 손으로 쓰인 글자에 대한 애정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필적’이라는 것, 즉 서사 이전에 제공되는 형상은 중세사학자들에게는 단순한 감상을 넘어 핵심적인 연구 자료가 되기도 합니다. 중세를 연구하는 학문에서는 날짜 없는 문서가 매우 흔하며, 당시의 책이나 기록물은 모두 손으로 쓰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필사체는 문서의 연대, 지역, 용도 등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고문서학(Paleography)은 과거에 작성된 문서나 기록물의 글씨체, 문자 체계, 필기 양식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이 분야는 필사본의 해독과 연대 추정은 물론, 필체와 기호의 변화, 인쇄 매체에 대한 분석을 아우릅니다. 연구자는 문자 형태의 변화, 약어의 사용 방식, 줄 간격, 필기 도구의 흔적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텍스트를 해석하고 진위를 검증하며, 이러한 작업은 역사학, 문헌학, 고고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발전해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세 유럽에서 필사체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려 합니다.

체계적이고 명확한 필사체 양식이 역사 기록에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4세기 경의 유럽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었다고 알려진 글씨체는 언셜체(Uncial)입니다. 언셜체는 둥글고 넓은 형태로, 전체적으로 대문자와 유사한 모양을 띠고 있으며, 당시 활발히 사용되던 양피지의 부드러운 표면에 맞추어 발전했습니다. 이전까지는 파피루스처럼 거친 재질에 맞춰 획수가 많고 각진 문자가 주로 쓰였으나, 언셜체는 보다 매끄럽고 유려한 한 획의 필선이 특징입니다.
초기의 언셜체 문서에는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가 없었지만, 이후 약 5세기에 걸쳐 띄어쓰기와 소문자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담은 서체를 하프 언셜체(Half-Uncial)라고 하며, 띄어쓰기와 소문자의 등장은 문서 작성과 읽기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8세기 후반부터 12세기까지 샤를마뉴 대제의 프랑크 왕국에서는, 카롤링거 미누스큘라(Carolingian minuscule)체가 만들어지고 활발히 쓰였습니다. 첨부된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이 필기체는 오늘날의 소문자 알파벳과 가장 유사한 형태로, 라틴 알파벳의 표준화에 기여했으며 현대 알파벳의 형태에 핵심적인 영향을 끼친 필체로 평가됩니다.
카롤링거(Carolingian)는 프랑크 왕조의 카롤링거 왕조(Charlemagne, 샤를마뉴 대제)에서 유래했고 미누스큘라(minuscule)는 라틴어로 소문자를 의미합니다. 즉, 카롤링거 미누스큘라는 소문자 필체의 일종입니다.

이후 12세기 르네상스 시기에는 고전 문헌의 번역과 복원, 대학의 설립 등으로 교육이 급속히 활성화되면서 필사본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 속에서 문서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작성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 기존의 카롤링거 체에서 고딕체(Gothic)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습니다. 고딕체는 좁고 각진 글자 형태와 수직선의 강조, 글자 간 밀집이 특징이며, 가독성보다는 한정된 지면에 더 많은 정보를 담아 배포하기에 유리한 방식이었습니다.

효율적으로 다량의 정보를 기입하기 위해 자간이 점점 줄어들다가 결국 글자와 글자가 서로 겹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중세 고딕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인 '물어뜯기biting 현상'이라고 불립니다.

하지만 15세기에 접어 들면서 학자들과 필경사들은 고딕체의 복잡성과 낮은 가독성을 점점 지양하기 시작했고, 고대 로마의 명료한 문자체로 회귀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이들은 카롤링거 미누스큘라를 재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단정하고 읽기 쉬운 휴머니스트체(Humanist minuscule)를 만들어냈습니다. 이 휴머니스트체는 인쇄술의 발전과 함께 활자 서체로 전환되어 로만체(Roman type)로 발전하였고, 이후 유럽 전역에서 인쇄물의 표준 서체가 되었습니다.

20세기 초, 영국의 《더 타임즈(The Times)》 신문은 인쇄 품질 향상과 공간 효율을 목표로 새로운 서체의 필요성을 느꼈고, 이에 따라 휴머니스트 계열 로만체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더욱 실용적으로 조정된, 오늘날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진 서체 중 하나인 타임즈 뉴 로만체(Times New Roman)가 1931년에 탄생하게 됩니다.
수세기를 거친 서체의 변화는 흐르는 시간 속에서 날짜를 추정할 수 있는 척도가 되어줍니다. 그것은 사건들을 시간 속에 고정시키고, 마침내 그것들을 역사로 만듭니다. 이는 정보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토막난 채 흩어져 있던 사건들에 이름을 부여하며, 그것들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성서학자이자 북서 셈어 연구자인 윌리엄 슈니드윈드(William Schniedewind)는 2005년 발표한 논문의 초록에서 고문서학의 한계를 다음과 같이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고문서학이라고 불리는 학문은 종종 원인과 결과가 명확히 입증되지 않은 순환적 논리circular reasoning에 의존하며, 정확한 날짜를 도출할 만한 충분한 데이터가 없다. 학자들은 또한 역사적 발전을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복잡성보다는 단순한 모델을 가정하는 경향이 있다.” (Schniedewind, William M. 2005. “Problems in the Paleographic Dating of Inscriptions.” In The Bible and Radiocarbon Dating: Archaeology, Text and Science, eds. Thomas E. Levy and Thomas Higham. Acumen Publishing. chapter, 405–412.)
책은 기록을 전제로 성립하는 사물이자, 어떤 방식으로든 정보를 물리적으로 담아내는 하나의 집합으로 존재합니다. 그리고 기록의 이면은 언제나 누락을 동반합니다. 쓰인 것에 반하여 쓰이지 않은 것이 있으며, 검증된 역사 곁에는 입증되지 못한 사변이 있고, 문자로 포착된 이야기 너머에는 언어로 담기지 않는 현상이나 목소리들이 있습니다. 이렇듯 필체의 형상은 오래된 텍스트의 틈이나 한 장의 손편지 속에서, 기록되지 않은 것들과의 불현듯한 마주침으로 그 모습을 드러냅니다.
이미지 출처
(1) 필사본: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22899580
(2) 중세 필경사: https://blogs.bl.uk/digitisedmanuscripts/2014/06/the-burden-of-writing-scribes-in-medieval-manuscripts.html
(3) 필체: https://en.wikipedia.org/wiki/Insular_script#/media/File:Evolution_of_minuscule.svg
(4) 언셜체, 하프 언셜체: https://www.britannica.com/topic/uncial
(5) 카롤링거 미누스큘라: https://www.omniglot.com/writing/carolingian.htm
(6) 12세기 고딕체: Walters Art Museum, W.18, f. 11v. © 2011 Walters Art Museum, used under a CC BY-SA license / 13세기 중반 고딕체: HMML, Arca Artium (aap1306 verso). Used under a CC BY-NC 4.0 license
(7) 물어뜯기 현상: https://hmmlschool.org/latin-gothic
(8) 휴머니스트체: David Harris, The Art of Calligraphy, Dorling Kindersley 1995
(9) 타임즈 뉴 로만체: http://muneeraaqeelgraphicdesign30s.blogspot.com/2012/12/times-new-roman-debuts-october-3-1932.html